자격증/일학습병행제 SW L5

[일학습병행제 SW개발 L5] 외부평가 준비 및 자료(2) - 지필평가

s.a 2022. 6. 12. 16:55
반응형

[ 지필평가  - 시험시간 ] :  20분 ( 과정마다 30분인 경우도 있는듯)

[ 지필평가  - 문제 유형 예시 ] 

 

 

 

위와 같이 총 6개의 문제유형이 나온다고 한다. 

1~3번 유형은 대충 찍을 수도 있는 유형이지만, 4~5번 유형은 제대로 알고 있지 않으면 손대기 힘들 것 같은 유형이다. 

내가 시험볼 떄는 1~3번 유형이 많이 나오길 기도해본다.


[ 지필평가 공개자료 내용 정리 ] 


** 2018년 05월, 2019년 04월, 2019년 12월, 2021년 01월, 2021년 06월

1. 다음 자바 언어에 대한 내용이 옳으면 O, 틀리면 X를 (   ) 안에  써 넣으시오.

for(;;) System.out.println("나라사랑");  // 결과 출력은 "나라사랑" 무한 반복이다. --------(       )


답 : O

풀이 : 자바에서 for(;;), while(true)는 무한루프 실행문이다.


** 2018년 05월, 2019년 04월, 2019년 12월, 2021년 01월, 2021년 06월

2. 다음 [보기]에서 반복문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3가지만 골라 쓰시오. 

- while

- switch

- if

- exit

- for 

- do - while


답 : while, for, do - while

풀이 : 

- while : 반복문

- switch : 분기문

- if : 분기문

- exit : 자바 프로그램 종료문? ex) System.exit() 

- for : 반복문

- do - while : 반복문

 


** 2019년 12월, 2021년 01월, 2021년 06월

3.  다음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의 품질 특성과 그 내용을 올바르게 연결하시오.


답 : 1-ㄱ, 2-ㄷ, 3-ㄴ

풀이 : 

**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품질 특성

1. 완전성 Completeness

누락된 요구사항의 존재 여부

2. 정확성 Correctness

요구사항을 논리적으로 정확하게 기술하였는지 여부

3. 명확성 Unambiguousness

이해관계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되었는지 여부

4. 일관성 Consistency

요구사항들 간의 연관 및 종속 관계의 불일치 존재 여부

5. 특이성 Peculiarity

중요도, 난이도, 변경 가능성을 표기하였는지 여부

6. 검증 가능성 Verifiability

요구사항에 대한 검증 기준 및 방법을 제시하였는지 여부

7. 수정 용이성 Modifiability

요구사항 항목의 식별, 수정, 영향도 분석이 용이한지 여부

8. 추적성 Traceability

관련된 산출물에서 요구사항을 추적할 수 있는지 여부

9. 이해 가능성 Understandability

요구사항을 표준 형식에 따라 기술하고 이해 가능한지 여부

 


** 2019년 12월, 2021년 01월, 2021년 06월

4. 시스템이 일정한 시간 또는 작동되는 시간 동안 의도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보증하는 품질 요구사항을 가르키는 용어를 쓰시오.


답 : 신뢰성

해설 : 

** UI 품질 요구사항

1. 기능성 : SW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만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

1) 적절성/정합성: 사용자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적절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

2) 정밀성/정확성: 요구하는 결과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능력

3) 상호 운용성: 다른 시스템들과 서로 어울려 작업할 수 있는 능력

4) 보안성: 접근 권한에 따라 허용/차단할 수 있는 능력

5) 호환성: 표준, 관례, 규정을 준수할 수 있는 능력

 

2. 신뢰성 : SW가 요구된 기능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오류 없이 수행할 수 있는 정도

1) 성숙성: 고장을 피해갈 수 있는 능력

2) 고장 허용성: 결함 시에도 규정된 성능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

3) 회복성: 고장 시 규정 성능 수준까지 다시 회복하고, 복구할 수 있는 능력

 

3. 사용성 : 사용자와 컴퓨터 사이에 발생하는 어떠한 행위에 대하여 사용자가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하며, 향후 다시 사용하고 싶은 정도

1) 이해성

2) 학습성

3) 운용성

4) 친밀성: 사용자가 SW를 다시 사용하고 싶어 하도록 하는 능력

 

4. 효율성 :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을 할당된 시간 동안 한정된 자원으로 얼마나 빨리 처리할 수 있는지 정도

1) 시간 효율성: 적절한 반응 시간 및 처리 시간, 처리율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

2) 자원 효율성: 적절한 자원 양과 종류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

 

5. 유지 보수성 : 환경의 변화 or 새 요구사항이 발생했을 때 SW를 개선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정도

1) 분석성: 결함이나 고장 원인, 수정될 부분들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

2) 변경성: 결함 제거 or 환경 변화로 인한 수정 등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능력

3) 안정성: 예상치 못한 결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능력

4) 시험성: SW의 변경이 검증될 수 있는 능력

 

6. 이식성 : SW가 다른 환경에서도 얼마나 쉽게 적용할 수 있는지 정도

1) 적용성: 원 목적 제공되는 것 외에 다른 환경으로 변경될 수 있는 능력

2) 설치성

3) 대체성: 동일 환경에서 동일 목적을 위해 다른 SW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는 능력

4) 공존성: 자원 공유 환경에서 다른 SW와 공존할 수 있는 능력


** 2019년 12월, 2021년 01월, 2021년 06월

5. 다음 (   )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.

- JSON의 자료형 중 문자열은 (            ) 로 묶어야 한다. 


답 : 쌍따옴표 (")


** 2018년 05월, 2019년 04월, 2019년 12월, 2021년 01월, 2021년 06월

6. 자바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가장 적합한 자료형을 선택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,  (         ) 안에 알맞은 자료형을 쓰시오.

- 우리나라 인구 수   ...........................(     A      )     

- 300인 이하 중소기업 직원 수      ......(     B      )

- 100인 이하의 슈퍼마켓 직원 수   ......(      C     )

- 전체인구 중 노인층 비율(%)        ......(      D     )


답 : A->  int,   B-> short,   C-> byte,     D-> double

풀이 : 

(A) int : 우리나라 인구수는 약 5천만

(B) short : 300인 이하이므로 short

(C) byte : 100인 이하의 직원수는 byte

(D) double : 비율을 구하는 것이므로 실수형 자료형 (float보다 double이 정확할듯)

 

* JAVA의 숫자 자료형

(1) float : 실수형 / 32bits / 소숫점 7자리까지 표현

(2) double : 실수형 / 64bits / 소숫점 16자리까지 표현

(3) byte : 정수형 / 8bits / -128~127

(4) short : 정수형 / 16bits / -32,768~32,767

(5) int : 정수형 / 32bits / -2,147,483,648~2,147,483,647

(6) long : 정수형 / 64bits / -9,223,372,036,854,775,808~9,223,372,036,854,775,807


** 2021년 06월

7. 다음 모듈화에 대한 내용이 옳으면 O, 틀리면 X를  (          ) 안에 써 넣으시오.

- 모듈화의 목표는 모듈 간 결합도를 최대화하고, 모듈 내 요소들 간의 응집도 최소화이다. ......(          )


답 : X

해설 : 

- 독립성이 높은 모듈일수록 모듈을 수정하더라도 다른 모듈들에게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,

오류가 발생해도 쉽게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다.

- 모듈의 독립성은 결합도(Coupling)와 응집도(Cohesion)에 의해 측정

- 독립성을 높이려면 모듈의 결합도는 약하게, 응집도는 강하게, 모듈의 크기는 작게

 


** 2021년 06월

8. 다음 [보기]에서 저작권 관리의 구성요소에 대한다는 항목을 3가지만 골라 쓰시오.

- 콘텐츠 제공자

- 콘텐츠 분배자

- 보안 컨테이너

- 요구사항

- 데이터 관리자

- 패키징 도구


답 : 콘텐츠 제공자, 콘텐츠 분배자, 보안 컨테이너

해설 : 

 


** 2021년 06월

9. 다음 패키징 도구의 구성요소에 대해 올바르게 연결하시오.


답 :  1-ㄴ, 2-ㄱ, 3-ㄷ

해설 : 

 


** 2021년 06월

10. 테스트 수행을 위한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의 집합으로 테스트 케이스의 동작 순서를 기술한 문서의 명칭을 쓰시오.


답 : 테스트 시나리오

해설 :


** 2021년 06월

11. 빈칸 (             ) 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.

- (            )은(는) 프로그램의 외부 사용자 요구사항 명세를 보면서 테스트, 주로 구현된 기능을 테스트 한다. 


답 : 블랙박스 테스트

해설 : 

화이트박스 테스트

- 프로그램 내부 로직을 보면서 수행하는 테스트

- 유형 : 제어구조 테스트 / 루프 테스트

 

블랙박스 테스트

- 프로그램 외부 사용자의 요구사항 명세를 보면서 수행하는 테스트


** 2021년 06월

12. 다음은 테스트에 대한 설명이다. 빈칸 ①, ②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각각 쓰시오.

- (  ①  ) 테스트 : 시스템에 고의로 실패를 유도하고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복귀하는지 테스트한다.

- (  ②  ) 테스트 : 사용자의 이벤트에 시스템이 응답하는 시간. 특정 시간 내에 처리하는 업무량, 사용자요구에 시스템이 반응하는 속도 등을 테스트한다. 


답 : ① 회복  / ② 성능

해설 : 목적에 따른 테스트 유형


** 2018년 05월, 2019년 04월

13. 다음 자바 언어에 대한 내용에서 옳으면 O, 틀리면 X를  (            ) 안에 써 넣으시오.

1) 자바에서 실수값을 저장하는 타입은 float, long이 있다.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(              )

2) 저버에서 주석문은 2가지가 있다. // 한 라인 주석처리, /* 여러 라인 주석처리 */ .........(               )


답 :  1) X, 2) O

해설 :

1) JAVA의 숫자 자료형

(1) float : 실수형 / 32bits / 소숫점 7자리까지 표현

(2) double : 실수형 / 64bits / 소숫점 16자리까지 표현

(3) byte : 정수형 / 8bits / -128~127

(4) short : 정수형 / 16bits / -32,768~32,767

(5) int : 정수형 / 32bits / -2,147,483,648~2,147,483,647

(6) long : 정수형 / 64bits / -9,223,372,036,854,775,808~9,223,372,036,854,775,807

 


[ 지필평가 기출복원 내용 참고 ] 

** 2019년 09월

(https://blog.naver.com/yongyos/221667270221)

(https://gogoma.tistory.com/m/14)

OX퀴즈

(1). 라우터의 특징 설명하면서 네트워크 계층과 관련해서 맞는지 틀리는지?

(2). 살충제 패러독스(Pesticide paradox)에 대한 설명

(3). 하나는 기억이 안 남...

연결식

(1). Request, Session, Application 에 맞는 설명을 연결하는 문제

(2). 추상화, 단순화 에 맞는 설명을 연결하는 문제

주관식

(1). 로더의 역할에 대한 설명이 써있으며 설명에 해당하는 역할 두 가지를 써야함 (연결, 적재)

(2).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도구에 대한 설명이 써있으며 설명에 해당하는 두 도구를 쓰는 문제 (정적도구, 동적도구)

 

**2022년 02월  (https://pkguma.tistory.com/5?category=983660)

[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]

(1) 블랙박스 테스트에 대한 설명

(2) 기능기반 커버리지 용어 설명

(3) 클린코드 작성원칙


 

 

 

저는 비록 하루 전에 공부하지만 이 글 보시는 모든 분은 한번에 합격하시길....